When I entered the small room at my maternal grandparents' house, there was a folding screen that wasn't particularly tall, and I was about three or four years old. The flowers and fruits hanging from the trees, the birds flying and perched—it all seemed so alive. The vivid colors of green, blue, red, and yellow were so beautiful that it feels like just yesterday when I gazed at them for a long time. I've never encountered a more beautiful folk painting since, and I wish to see it once more.
Although I grew up watching my father create calligraphy and paintings, I wasn't interested in drawing..."
— From the recollections of artist Hwang In-heh —
We are referred to as the "People of White Clothing," and when we look at artworks like landscape paintings, literati paintings (such as the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s of ritual vessels, genre paintings, and calligraphy, they were the creations of the nobility that conveyed a heavy feeling centered around ink. However, when we observe the dynamic depictions of figures in Goguryeo murals, we can glimpse the characteristics of our people who enjoyed bright and beautiful colors and merriment. Moreover, there were folk paintings, and among them, types like bird-and-flower paintings that leave vivid impressions. The term "People of White Clothing" brings to mind the duality of our people who, beneath that exterior, also enjoyed bright and beautiful colors. This undeniably evokes the dual nature of the artist's personality—seemingly quiet but bright and bold.
In Hwang In-heh's "Painting of the Sun, Moon, and Four Seasons," the mountains held in her heart are depicted through sketches, and the plants bearing flowers and fruits, as well as animals—the living beings within them—are peacefully situated. The beautiful colors of red, green, yellow, and blue, seen in the splendidly embroidered ceremonial robes of palace women and also in folk paintings, are blended like seasoning over the spirituality cultivated in literati paintings and calligraphy, embodying her life.
The letters "ㅇ" and "ㆁ" from Hunminjeongeum (the Korean script), created by King Sejong out of love for his people, become the sun and the moon descending to the earth, and a pair of geese swimming leisurely (the inverted letter "ㄹ") become the banner of "사랑" (love). The vowels and consonants, drawn with vigorous brushstrokes, are a masterpiece that showcases without reserve the skill of an artist who has worked with abstract Hangul (Hunminjeongeum) art for over 30 years.
* It will be a meaningful time to gain creativity and inspiration from Hwang Inheh's artistic world. We look forward to the new editions that will be released regularly.
황인혜 갤러리 제 1편
# 일월사계도(日月四季圖)
– 외가댁 화조도 병풍의 기억
김은배
‘외가댁 작은 방에 들어가면 그다지 높지 않은 병풍이 있었고, 내 나이는 3~4세였다. 나무에 달린 꽃과 열매, 새들의 날아가는 모습, 앉아 있는 모습은 살아 있는 듯 했고, 초록ᆞ파랑ᆞ빨강ᆞ노랑의 선명한 빛깔들이 너무 고와서 오랫동안 쳐다 보았던 것이 엊그제 같다. 지금까지 그보다 더 아름다운 민화를 만난 적이 없어 다시 한 번 더 보고 싶다.
아버님이 서화작품 하시는 것을 보고 자랐으나, 그림에는 관심이 없었는데…’ - 황인혜 작가의 회고 중 -
우리를 백의민족이라 일컫고, 미술작품도 산수화, 문인화(사군자 등), 기명절지, 풍속도, 서예 등을 볼 때 먹이 위주로 된 묵직한 느낌을 주는 사대부들의 것이었다. 그러나 고구려 벽화에서 동적인 인물들의 묘사를 보면 밝고 고운 색감과 유희를 즐기는 우리 민족의 특성을 엿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민화가 있었고 그 중에서도 화조도와 같이 선명한 인상을 주는 종류도 있다.
백의민족이란 이면에 밝고 고운 색을 즐겼던 우리 민족의 양면성을 떠올린다. 이는 또한 조용한 듯 하나 밝고 튀는 도전적인 작가의 양면적인 성격 또한 연상케 하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황인혜 작가의 일월사계도는 스케치를 통해 마음 속에 담긴 산의 모습과 그 속에 있는 생명체인 꽃 열매를 달고 있는 식물과 동물들이 평화롭게 자리하고 있다.
화려하게 수놓은 궁중 여인들의 활옷, 민화에서도 보이는 빨강ᆞ초록ᆞ노랑ᆞ파랑의 고운 빛깔은 문인화와 서예에서 닦아진 정신성 위에 양념처럼 버무린 그녀의 삶이 녹아 있다. 세종대황께서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만드신 훈민정음의 ㅇ과 ㆁ이 해와 달이 되어 땅으로 내려 앉고 유유히 헤엄치는 기러기 한 쌍(ㄹ의 뒤집힌 글자)이 바로 ᄉᆞᄅᆞㆁ (사랑)의 깃발이다. 힘차게 그어진 붓질의 모음과 자음은 30여 년 한글추상(훈민정음) 작가의 기량을 여지없이 보여주는 수작이다.
* 황인혜 작가의 예술 세계에서 창의성과 영감을 얻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입니다. 정기적으로 게재될 새로운 에디션을 기대해 주세요.
2024 ⓒ Arirang Culture Connec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