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once came across an old diary belonging to an eighty-year-old Swiss man who had measured his entire life in hours and minutes.
He had slept for twenty-six years, eaten for six, washed his face for two hundred and twenty-eight days, spent eighteen days knotting his tie, waited five years for appointments, stared vacantly into space for another five, and lit cigarettes for twelve days. Out of all these, the hours he counted as truly happy amounted to just forty-six.
Forty-six hours of happiness in eighty years of living — what a startling confession of time! It tells us that happiness, like life itself, is but a fleeting instant, a passing gleam in the immense chronology of the earth.
Now, having reached eighty myself, I look back on the years spent in study and struggle and find them long and weighty. Yet when I recall the moments of joy, they seem brief—almost fragile—like petals scattered by the wind. Even so, I believe that life is worth living for the small beauties that redeem it. Our existence resembles a play enacted upon the world’s stage, where men and women perform their parts through laughter and sorrow alike. It takes a lifetime to understand that simply standing upon that stage—and choosing how to act—is itself an act of courage.
No one, however, decides when to leave the stage; that remains the prerogative of the unseen director. How uncertain life seems when we remember this—yet how precious it becomes when we realize that our brief time in the spotlight is all that is given to us. Perhaps, then, each of us bears a quiet obligation: to live meaningfully, to perform with sincerity.
Oscar Wilde once wrote that life consists of two halves—the things we wish to do but cannot, and the things we can do but do not wish to. The difference between living in awareness and living in ignorance, I think, is like the distance between a desert and an oasis.
During the long confinement of the pandemic—eating three meals a day, enclosed within my home—I found myself reflecting on such matters: time, happiness, and the fragile art of living. And the more I thought, the more I realized—perhaps to think is itself to live.
**Each week, a new episode awaits you. A story that brings gentle inspiration and peace of mind — with heartfelt support from Culture Masters (http://www.culturemasters.org).**
---------
임교수의 문학산책: 에피소드 41
# 생각하는 삶
임 문영
스위스의 80세 노인이 자신의 일생을 시간으로 계산하고 정리한 것을 낡은 일기장에서 본 적이 있다.
잠자는 시간이 26년, 식사시간 6년, 세수 시간 228일, 넥타이 매는 데 든 시간 18일, 약속 시각 기다린 시간 5년, 혼자 넋 놓은 시간 5년, 담뱃불 붙이는 데 든 시간 12일, 그중 행복했던 시간은 46시간. 이처럼 80년의 삶 속에서 행복했던 시간이 고작 46시간이라니…. 정말 놀랄 일이다. 행복이란 짧은 시간, 순간인 것처럼 80 평생도 지구의 역사에 비하면 아주 찰나의 시간임을 알 수 있다.
올해에 80살이 된 나는 공부하고 고생한 면들을 돌아보면 쾌 긴 시간임을 알 수 있지만, 다른 한편 즐거웠던 일들을 생각하면 고생한 시간에 비해 아주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도 인생은 나름 아름다운 것들 때문에 살아갈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세상이라는 무대 위에서 남녀가 벌이는 연극 같은 삶이지만 무대에서 연극을 하는 연기에 따라 희로애락이 있지만, 무대에 설 수 있다는 것과 무대에서 어떤 연기를 할 것인가는 자신의 선택임을 알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누구나 무대에서 떠나는 것은 연출자의 마음에 달려 있으니 삶은 얼마나 불안한가 하다가도 삶은 주어진 무대에서의 연기하는 기간에만 주어진 생이기에 더욱 가치가 있는 것이다.
게다가 보람된 삶을 살아가야 할 나름의 의무 같은 것도 있는 것이 아닐까? 하고 싶지만 할 수도 없고 할 수 있지만 하고 싶지 않은 이 두 가지가 인생을 구성한다는 오스카 와일드의 말처럼 알고 사는 것과 모르고 사는 것의 차이는 메마른 사막과 물 있는 오아시스의 차이처럼 엄청난 것이리라. 코로나로 오랫동안 세끼 밥만 먹고 집콕하니 별생각을 다 하고 있다.
**격주로 새로운 에피소드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일상의 소박한 영감과 마음의 평안을 전하는 이 이야기를, 컬처마스터즈http://culturemasters.org/kr#가 함께 응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