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one visits art museums often, there are moments when the quiet presence of elderly couples lingers like a painting in itself. Dressed in elegant clothes, with carefully applied makeup, they must have been lovers of art since their youth—or perhaps professionals once bound to the world of canvases and colors. Whatever the case, their serene gaze upon paintings stirs something deep within me. Watching such couples savor art together is already a tableau of beauty—an image that moves the heart as though it were a painting in its own right.

I found myself envying their days: lingering before works of art, enjoying lunch at the museum’s fine restaurant, sipping tea together in the afternoon—living, it seemed to me, a perfectly “cultural” life. Yet to them, it must have been nothing more than their ordinary rhythm of days. That is the nature of culture: when woven seamlessly into life, it ceases to appear extraordinary.

Once, in the city of Bourges, I was passing through the square near the Maison de la Culture, hurrying to catch a train. There I encountered an elderly gentleman with snow-white hair, a sketchbook tucked under his arm. Curious, I asked if he was going to paint. He smiled and invited me to join him. On impulse, I followed him to an atelier. Inside, a handful of people were already drawing. The old man handed me a few sheets of paper and urged me to try sketching as well.

“But what shall I draw?” I asked. Just then, a young woman in the room stepped forward and struck a pose—she was the model. Each time she shifted her posture, the room filled with the quick strokes of pencils. I too tried, hesitantly at first, even blushing when faced with sketching her direct gaze. Yet in the end, I completed the drawing. The others gathered around my work and declared, with some excitement, that it bore the mark of the “Oriental line.” They found in it the distinct sensibility of my heritage. To my surprise, they pressed the drawing upon me as a gift.

The elderly man with the sketchbook turned out to be a graduate of the École des Beaux-Arts in Paris and the atelier’s instructor. I was deeply moved: here was a place where even in old age, one painted together with joy; where even a model—something we might imagine reserved for professional artists—was present for anyone who wished to practice. It was more than an atelier; it was the embodiment of a cultural climate, a way of life where art belonged to all. I carried that memory away as a precious keepsake in my heart.

Afterward, I lingered alone at a café, still warmed by the kindness of the cultural center’s staff and the old painter’s love of art. Gazing into the distance, I wondered: What awaits me next? With such anticipation, I boarded the train to my next destinations—Firminy and Saint-Étienne—carrying with me the quiet resonance of a life where culture breathes within the everyday.

**Each week, a new episode awaits you. A story that brings gentle inspiration and peace of mind — with heartfelt support from Culture Masters (http://culturemasters.org).**

---------

임교수의 문학산책: 에피소드 40

# 문화적인 삶

임 문영


미술관을 자주 가다 보면 가끔 노부부들의 그림 나들이 광경을 볼 수 있다. 고가품의 옷을 입고 화장을 진하게 한 한 쌍의 노부부는 젊었을 때부터 그림 감상을 해온 부부일 것이다. 아니면 그림과 관련된 직업을 가졌었거나 그림을 취미로 했거나 아무튼 그림 감상을 하는 모습이 여간 내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감동을 자아내는 노부부의 그림 감상장면이다. 또 하나의 그림을 보는 듯하다.

삶을 여유롭게 그림 감상하며 부부가 함께 미술관 고급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차 마시며 하루를 문화적으로 사는 이들이 부럽기까지 했다. 내 눈에서는 문화적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 들지만, 막상 그들은 일상적인 삶을 누리고 있는 것일 것이다. 문화가 삶에 녹아들어 있으니 그럴 만도 하다.

부르즈(Bourges)시 문화의 집을 방문하고 다른 도시로 가려고 기차 시간에 맞춰 광장을 지나고 있을 때 우연히 나이 많은 머리가 하얀 할아버지 한 분을 만나게 되었다. 스케치북을 들고 가시는 할아버지가 궁금해 그림 그리러 가시느냐며 관심을 쏟으니 할아버지께서는 시간이 있으면 함께 자기가 그림 그리는 곳엘 가지 않겠느냐고 해서 즉흥적으로 함께 스케치북을 든 할아버지와 함께 아뜰리에를 가게 되었다.

그림 배우는 사람들이 몇 명 있었다. 나한테 스케치할 수 있는 종이를 몇 장 갖다 주면서 그림을 그려보란다. 무슨 그림이냐고 하니? 함께 있던 젊은 여자 한 분이 모델이라면서 포즈를 취하는 것이 아닌가? 모두 그 모델이 포즈를 바꿀 때마다 그림을 그려나간다. 나도 다양한 포즈를 따라 그린다. 민망할 정도의 정면을 그리려니 낯이 뜨겁기도 했지만 결국은 그려냈다. 모두 내가 그린 데생을 보면서 이리저리 구경하더니 한마디로 오리엔탈 라인이라면서 그것이 특징이란다.

동양인으로서의 문화적 특징이 나타난다면서 내 데생을 이리 보고 저리 보고 야단들이다. 그러면서 선물이니 가져가란다. 스케치북 할아버지는 파리미술대학교를 나온 분으로 아뜰리에 지도 선생님이셨다. 나이 들어서도 함께 그림을 그리며 즐기고 더구나 우리 같으면 전문화가들이나 쓸 수 있는 모델을 앞에 놓고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분위기와 문화적 풍토 그리고 문화 수준에 난 깊이 감동하며 가슴에 고이 간직한 추억거리가 되었다.

문화의 집 여직원의 친절에 반하고 스케치 할아버지의 그림 사랑에 흠뻑 빠져 한동안 혼자 카페에 멍하니 앉아 있었다. 한참 후 무엇이 나를 또 기다리고 있을까? 하는 기대를 품고 기차를 타고 다음 목적지인 휘르미니와 생떼띠엔느시로 향한다.

**격주로 새로운 에피소드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일상의 소박한 영감과 마음의 평안을 전하는 이 이야기를, 컬처마스터즈(http://culturemasters.org/kr#)가 함께 응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