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irang Culture Connect: Munsan, Paju]


The Bannam Park clan held its annual ancestral rites at the Pyeongdogong Shrine and the adjoining burial grounds in Munsan-eup, honoring three key forebears who shaped the lineage’s early history: Pyeongdogong Park Eun (朴訔), Champangong Park Gyu (朴葵), and Jolheongong Park Eungbok (朴應福).
This year’s observance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as the rites for Champangong and Jolheongong were conducted together, reflecting both tradition and the clan’s efforts to make heritage practices more accessible to younger generations.

Park Seung-won, the head steward (Doyusa) of the Bannam Park Clan Association, delivers his greeting address.


A Legacy Rooted in Early Joseon Governance

Pyeongdogong Park Eun, a founding contributor to the Joseon Dynasty, stands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dministrators of its formative era. Recognized as a Founding Merit Subject, he played a pivotal role during the dynastic transition and later served as Chief State Councillor (Jwauijeong) and Geumcheon Buwongun.
His achievements helped establish the Bannam Park family as a leading literati lineage grounded in Confucian scholarship, statecraft, and public service.

His son, Champangong Park Gyu, extended this legac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Serving as Pan-Tongnyeowonsa, senior official of the Ministries of Rites, Justice, and Personnel, and as Provincial Governor of Hwanghae, Pyeongan, and Gyeongsang, he played a vital role in the administrative refinement of the early 15th century. The royal commendations bestowed upon him at his death in 1437 illustrate his distinguished standing in the court.

Jolheongong Park Eungbok, the fourth son of Mungangong Park So, further shaped the lineage’s internal structure by fathering the four branches — Busolgong, Namgwakgong, Giljugong, and Ochangong — that continue to define the clan's mid-Joseon genealogical framework. His descendants later emerged as regional scholars and community leaders, helping to preserve the clan’s cultural heritage.

Park Jin-woo, the chief descendant of the clan, offers a ceremonial cup to the ancestors.

Restoration and Stewardship of Ancestral Sites

In his commemorative address, Do-yusa Park Seung-won emphasized the extensive restoration efforts completed this year around the Champangong burial site. Between May 3 and June 5, the grounds underwent civil engineering work, stairway improvements, installation of new water lines, and the planting of roll turf and azaleas. Additional clearing, selective thinning, and pruning of pine trees were carried out to restore the environment’s historical character.

The burial ground of Jolheongong in Bongseo-ri, by contrast, has long been difficult to access due to steep terrain and limited pathways. Recognizing the challenges this posed for many descendants, members of the Jolheongong lineage requested for several years that their annual rite be moved to the Pyeongdogong Shrine.
This year marked the first official observance of the Jolheongong rite at the shrine, significantly improving participation.

Traditional Ceremony Conducted with Full Observance

The rites proceeded with traditional formality, with key roles fulfilled as follows:

Chief Officiant (Choheon-gwan): Jin-woo, successor of the main line

Second Officiant (Aheon-gwan): Seung-su of the Busolgong branch

Third Officiant (Jongheon-gwan): Seong-woo of the Hogungong branch

Prayer Reader (Chuk-gwan): Min-woo of the Gongsungong branch

Master of Rites (Jipnye): Chan-hyeok of the Champangong branch

Attendants (Jipsa): Man-seo (Sukcheongong), Chan-man (Busolgong), Hyeon-woo (Namgwakgong), and Jun-woo (Gongsungong)

Their participation underscored the ceremony’s continuity with long-standing ritual practice.

Sustaining Heritage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 recurring theme throughout the ceremony was the urgent need to reinforce participation among descendants in their 20s to 50s. As modern work demands limit attendance at weekday rites, many clan members support shifting major observances to weekends. Such adjustments are expected to encourage younger members to assist with documentation, ceremonial tasks, and organizational duties — roles essential to sustaining the lineage’s cultural identity.

Clan representatives reiterated that ancestral rites must be lived, not merely remembered.
The Bannam Park lineage embodies this principle by integrating younger generations into the stewardship of ceremony, site maintenance, and historical awareness.

A Living Cultural Legacy

Through the preservation of ancestral grounds, the thoughtful restoration of ceremonial landscapes, and strengthened intergenerational participation, the Bannam Park clan continues to uphold the heritage rooted in the achievements of Pyeongdogong, Champangong, and Jolheongong.
The ceremony reaffirmed a core truth shared across lineage traditions:

heritage is not maintained by memory alone, but by the collective commitment of descendants who choose to participate and carry it forward.

---------------------------------------

한국 조선 초 국가 형성에 기여한 명문 가문의 유산- 박은, 박규, 박응복 세분을 기리다

— 반남 박씨 가문의 계승과 제향 전통의 현재

[아리랑 컬처 커넥트: 파주, 문산]

발행인 박성용


반남 박씨 문중이 평도공 사우와 인접한 선영에서 올해도 어김없이 선조 제향을 봉행하였다. 이번 제례는 가문의 기틀을 마련한 평도공 박은(朴訔), 가계의 중흥을 이끈 참판공 박규(朴葵), 그리고 중조 계통을 정립한 절형공 박응복(朴應福) 세 분을 기리는 자리였다.
특히 참판공과 절형공의 제향을 합동으로 올린 것은 전통을 존중하는 한편, 젊은 세대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문중의 노력이 반영된 의미 있는 시도였다.

반남박씨 대종중 박승원 도유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25뉴스

초기 조선의 국정 운영을 이끈 가문의 원류

평도공 박은은 조선 개창기에 공신으로 참여하여 새 왕조의 기반을 세우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 인물이다. 조선 개국원종공신으로 책록된 그는 좌의정에 올라 정국을 안정시키고, 이어 금천부원군에 봉해지는 등 조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그의 정치적 성취는 반남 박씨 가문이 학문·관료·문치(文治)의 명가로 자리매김하는 데 결정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그의 아들 참판공 박규는 세종대에 예·형·이조를 아우르는 동녕원사와 여러 도의 관찰사를 역임하며 행정 체제를 정비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1437년 서거할 당시 임금이 특별한 전교로 덕망을 기렸다는 사실은 그의 청백성과 공적을 분명히 보여 준다.

절형공 박응복은 문간공 박소의 넷째 아들로서 가문의 중흥과 분파 형성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가 후손을 통해 분기시킨 부솔공·남곽공·길주공·오창공의 네 세대는 이후 중기 반남 박씨 가계 구조의 한 축을 이루며, 지역 학풍과 향촌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선영 정비와 문중의 품격 있는 관리

기념사에서 도유사 박승원은 금년 참판공 묘역 정비 사업의 경과를 상세히 보고했다. 5월 3일부터 6월 5일까지 묘역의 제반 토목 공사와 계단 보수, 송수관 정비가 이루어졌으며, 잔디와 철쭉 식재, 소나무 숲 간벌과 정비도 함께 진행되었다. 이는 역사의 공간으로서 묘역의 경관을 본래의 고즈넉한 품격으로 되살리는 중요한 작업이었다.

한편 봉서리 절형공 묘역은 험준한 경사와 불편한 진입로로 인해 오랜 세월 후손들의 발길이 쉽지 않은 곳이었다. 이에 절형공 후손들은 제향 장소를 평도공 사우로 이전해 달라는 뜻을 여러 해에 걸쳐 요청해 왔으며, 올해 처음으로 공식 제향이 사우에서 봉행되어 참여율이 크게 높아졌다.

박진우 대종손이 선조님께 잔을 올리고 있다. 25 뉴스

의례를 갖춘 전통 제례의 엄정한 봉행

이날 제향은 전통 의례 절차에 따라 엄숙하게 진행되었다.

초헌관: 본계 종손 진우

아헌관: 부솔공계 승수

종헌관: 호군공계 성우

축관: 공순공계 민우

집례: 참판공계 찬혁

집사: 숙천공계 만서, 부솔공계 찬만, 남곽공계 현우, 공순공계 준우

각 파·계의 후손이 고르게 참여한 이번 제향은 문중의 전통 의례가 세대 간 조화를 이루며 계승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젊은 세대의 참여를 통한 지속 가능한 제향 문화

올해 제향에서 모든 종원들이 공통으로 강조한 점은 20~50대 후손의 참여 확대였다. 평일 제향에 참석하기 어려운 현대적 여건을 고려하여 주요 제향일을 주말로 조정하자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으며, 이는 젊은 종원들이 문헌 기록, 제수 준비, 의식 보조, 행사 운영 등 문중의 실질적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중 어른들은 “제례는 기억으로만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함께 모여 실천할 때 비로소 살아 있는 전통이 된다”고 거듭 강조하였다. 반남 박씨 가문은 조상들의 업적을 기리는 데 그치지 않고, 젊은 세대가 제향과 유산 관리에 직접 참여하도록 독려함으로써 살아 숨 쉬는 문중 문화를 실현하고 있다.

종친들이 시향제를 마치고 선조님 묘역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5 뉴스

현재 속에 이어지는 살아 있는 유산

조상 묘역의 보존, 제향 공간의 정비, 세대 간 참여의 확대라는 세 축을 통해 반남 박씨 가문은 평도공·참판공·절형공의 유업을 한층 공고히 다지고 있다.
이번 제향은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을 다시금 일깨웠다.
유산은 ‘기억’으로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참여’라는 실천 속에서 비로소 다음 세대로 전해진다.

본 기사는 25뉴스(박승식 발행인)의 자료 및 협조 제공에 힘입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