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opia 0401
Soonji, Muk, Charcoal, and Colors 63 x 94 cm 2004

This artwork is composed of the characters ㅿ, ㅡ, ㅣ, and ·, which are part of Hangeul’s origin, Hunminjeongeum. Although it is an abstract art, it also conveys a sense of representation. The symbol ㅿ represents a mountain. The slanted lines of ㅿ are expressed as curves, and the water’s surface is represented by ㅡ. The short ㅣ symbolizes clouds hanging around the mountain’s waist. The dots of the knot buttons are marks representing various creatures and inanimate objects within the mountain.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Hunminjeongeum possess both abstraction and representation, and they are remarkable not only in their scientific aspects but also in their artistic form. In other words, these characters are unique and superior, incomparable to any other writing system.

Now, I would like to share some episodes and the emotions the artist experienced. This piece is one of the works showcased in the 2004 Gallery Indecco Invitational Exhibition. A visitor from Taiwan once asked the artist, "Have you ever been to Norway?" When the artist replied, "No, I haven’t," the visitor laughed and said, "It feels like I’m seeing the autumn landscape of the Norwegian fjords. You must have been Norwegian in your past life."

The artist also recalled an unforgettable remark from a professor at an art university who attended the "History of Writing" exhibition in March 1995, hosted by the Berlin Technical Museum. "I knew Hangeul was scientific, but I didn’t know it was so artistic. I will bring my students here for a lesson," the professor said. The artist mentioned how this experience made her think more seriously about our Hangeul system.

The artist also expresses her gratitude, saying, "I deeply thank King Sejong and my late father, Heeje Hwang Gisik, for their love, consideration, and foresight." She emphasizes that without love, anything would be an empty shell. Hangeul is a beautiful writing system that surpasses the role of a mere communication tool and embodies a perfect form. The shapes △ □ ○ · ㅡ ㅣ can represent various forms. The artist’s constant dedication to this realization is praiseworthy.

When no one had yet recognized Hangeul in March 1994, and even now, as well a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our love for the ancient characters will bear fruit. The artist recalls how her mentor, whom she deeply respected, once advised against abstracting letters. "They didn’t even publish it in the art magazines," he said. However, I believe that her works, inspired by the beauty of Hangeul, will be widely recognized and loved across the world.

* The above series of articles have been created as part of the international promotion of traditional cultures of various countries, which is a major activity of the international cultural enterprise ‘Culture Masters and Non-profit organization Advocacy Alliance for Culture Masters(AACM).(The end)

-----------------------------------------------------------------------------------------

황인혜 갤러리 제14편

# 유토피아

김은배 박사

유토피아 0401 순지 위에 먹, 목탄, 혼합채색 63 x 94 cm 2004

이 작품은 한글의 모체인 훈민정음의 ㅿ, ㅡ, ㅣ, ·으로 구성되었다.

추상이지만 구상의 느낌도 준다.

ㅿ 는 산을 상징하는 기호다. ㅿ 의 사선을 곡선으로, 수면은 ㅡ로 표현했다. 짧은 ㅣ는 산허리에 구름이 걸려 있는 모양이다. 매듭 단추의 점은 산 속에 있는 갖가지의 생물과 무생물의 표징(表徵, mark)이다.

훈민정음의 자모는 추상성과 구상성을 가지고 있으며, 과학적인 면뿐만 아니라 조형적인 면에서도 뛰어나다.

즉, 어떠한 문자와도 비교할 수 없는 독창성과 우월성을 지닌 글자이다.

이젠 작가가 겪은 에피소드와 그의 심정을 곁들이고자 한다.

이 작품은 2004년 갤러리인데코초대전에서 선보인 작품들 중 하나이다. 대만에서 오신 손님이 작가에게 “노르웨이를 가 본 적이 있느냐?”라고 물었다고 한다. “못 가봤다”고 하니, “노르웨이 피오르 지역의 가을 풍경을 보는 듯 하다. 너는 전생에 노르웨이 사람인가 보다.” 라고 하며 웃었다고 한다.

또한, 작가는 1995년 3월 베를린 기술 박물관이 초대한 「문자의 역사」전에 관람 오신 미술 대학 교수의 말씀을 잊을 수 없다고 하였다.

“한글이 과학적이라는 사실은 잘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예술적인 줄은 몰랐다. 학생들을 데려 올 테니 여기서 내 수업 시간을 함께 하자”고 하여 유익하게 시간을 보냈다고 하며, 그 후 우리 글자에 대한 생각을 더욱 진지하게 가지게 된 여러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세종대왕님과 나의 선친이신 희제 황기식님의 사랑과 배려, 앞날을 보신 혜안을 깊이 감사드린다.” 라고 작가는 말한다. 무슨 일이든 사랑이 없으면 빈 껍데기인 것을! 한글은 서로 소통 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문자를 뛰어 넘는 조형 상의 완벽함을 지닌 아름다운 글자이다. △ □ ○ · ㅡ ㅣ 로 여러 형상을 나타낼 수 있으니까. 이러한 것들을 일찍 깨우치고 꾸준히 이어 온 작가의 변함 없는 노력에 찬사를 보낸다.

그 누구도 우리 글자 한글에 대한 인식이 없었을 때인 1994년 3월부터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될 우리의 옛글자에 대한 사랑이 크게 결실할 것으로 기대되는 것이다.

그가 가장 존경하고 따르며 가까이 모셨던 은사님께서 문자 추상을 하지 말라고 하셨단다. 미술잡지에도 실어 주지 않더라고 하시면서...

그러나 그의 작품들은 한글의 아름다움에 힘입어 온 세계에 널리 알려져서 큰 사랑을 받을 것이라 여긴다.

* 상기 연재 기사는 국제문화기업 컬처 마스터즈와 비영리단체인 전통문화예술인협회 ’의 주요 사업인 한국의 문화와 한글의 국제 보급활동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