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I looked up the verb "to be empty" (비다) in the Korean dictionary, I found the following definitions: 1) a space that is not occupied by a person or object, 2) being without something in hand or on the body, and 3) having no tasks or having finished work, thus leaving time available. Essentially, 비다signifies the absence of space or time.
Interestingly, in Spanish, the word for life is la vida(비다). In a lighthearted comparison, one might say that the Korean word 비다(to be empty) mirrors the Spanish vida(life), suggesting that life itself is about learning how to empty oneself. If life is a cycle of filling and emptying, there was a time when we were wholly engrossed in the act of filling. This fixation on growth and materialism led us down the path of materialistic pursuits and unbridled expansion. And now? We find ourselves at a point where excessive accumulation has resulted in a pathological state—a point where we must learn to let go. Today, the ability to empty oneself has become the measure of happiness in life.
This evening, unlike most days, I found myself at Gangnam Station, waiting to take the subway home. On a whim, I lined up near the area marked for priority seating. As the train arrived and the crowd surged forward, I squeezed into the packed car, finding not an inch of space to spare. Still, I decided to check the priority seating—and, to my surprise, there was an empty seat. Feeling grateful, as I had a 30-minute ride ahead, I sat down. Strangely, the seat next to me remained unoccupied.
Tired young passengers stood nearby, but no one made a move to sit down. It was unexpected. I wanted to believe in the awareness and consideration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trust that they honor societal promises. I felt a glimmer of hope—hope that these young people, who respect social agreements, offer a brighter future for us all.
Perhaps it is my generation that needs to step back and reconsider. We often criticize the youth for being overly individualistic, yet are we failing to recognize that our time on the stage is ending? The world now belongs to them, and we are merely along for the ride. It is our generation, after all, that struggles to leave an empty seat empty.
**Join us every week as we share a new installment of this remarkable series. Stay tuned for essays that promise to inspire and captivate.**
---------
임교수의 문학산책: 에피소드 22
# 빈자리
국어사전에서 동사 ‘비다’를 찾아보니 1) 일정한 공간에 사람, 사물 따위가 들어가 있지 아니하게 되다. 2)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닌 것이 없게 되다. 3) 할 일이 없거나 할 일을 끝내서 시간이 남는다. 라고 되어 있다. 곧, 비다는 공간과 시간이 비어있음을 나타낸다.
스페인어로 삶은 la vida(비다)인데 우스갯소리로 우리말의 비다는 바로 스페인어로 삶인 것처럼 삶은 어떻게 비우느냐가 문제인 것이다. 삶이 채움과 비움의 쳇바퀴라고 한다면, 한때 우리는 삶을 채우기에만 혈안이 된 시기가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물질만능주의를 가져와 오로지 성장 위주의 삶을 살았다면 지금은 어떤가? 지나친 채움으로 인해 만연된 병적인 상태에 이르기까지 된, 지금은 오히려 비워야 하는 시기에 사는 것이다. 비움이 삶의 행복을 좌우하는 잣대가 되고 있다.
오늘은 평소와 달리 퇴근 시간에 지하철을 타려고 강남역에 와있다. 혹시나 해서 노약자표지가 되어 있는 곳에 줄을 선다. 우르르 몰려들어 가는 틈에 끼어 객차 안으로 들어가니 빈틈이 없다. 그래도 행여나 싶어 노약자석으로 가보니 빈자리가 있는 것이 아닌가? 30분 정도 타고 가야 하니 감사한 마음으로 앉았다. 한데 옆자리가 빈 채로 남아있다. 피곤한 젊은이들이 서 있지만 앉으려 하지 않는다. 의외다. 난 젊은이들의 의식을 믿고 싶다. 사회적 약속을 지킬 줄 아는 그들이기에 우리에게 아직은 희망이 있다고 외치고 싶다. 젊은이들이 너무 개인주의적이라고 떠드는 우리 세대는 무대에서 물러나야 할 시기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들이 주인인 시대에 우리가 꼽사리 껴 사는 것이다. 우리 세대는 빈자리를 빈 채로 놔두지 못한다.
**매주 새로운 에피소드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일상의 소박한 영감을 주고 마음의 평안을 가져다주는 이야기를 함께해 주세요.**
2024 ⓒ Arirang Culture Connec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