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this?"
My wife pulls out an object, no bigger than a fish-shaped pastry. It’s wrapped in several layers of crumpled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For a moment, I feel a flutter of anticipation—as if it might be some rare treasure. “What is this?” I ask again.
But when I see what lies inside, I can’t help but be taken aback. Black hair? Wait a second… aren’t these clippings from my beard? She nods.
“How on earth have you kept this all these years?” I exclaim.
She shrugs. “I just tucked it away somewhere and… well, I guess I forgot about it.”
It was sometime in the late 1970s, during my studies in Paris, that this peculiar keepsake came to be. I had returned to Korea briefly, amidst the chaos of writing my thesis. Back then, I was too busy to shave and rarely left the dormitory, so there was no reason to bother. I let my beard grow out, relishing the convenience of it—not having to shave every day saved time and money, and honestly, I’d always been curious to see how far I could grow it.
In Korea at the time, though, beards were frowned upon. They were seen as unkempt, even rude. Only a select few—artists and bohemians—could sport a beard without inviting criticism. But there I was, bearded and back home, a sight that startled my wife more than it delighted her.
The moment she saw me, her first words weren’t a greeting—they were a demand: “Shave it off!” I was stubborn, refusing to yield. Yet my beard’s defiance lasted less than a day. While I napped, she seized a pair of scissors and snip—off it went. Bold, wasn’t she?
Apparently, she couldn’t bring herself to simply throw it away. Instead, she wrapped the clippings in hanji and tucked them into a box, where they remained forgotten for decades. A treasure? Now, in 2020, it’s been over fifty years.
To my surprise, the beard still gleams, its silky black strands remarkably well-preserved. As we sit with the little packet before us, my wife and I find ourselves reminiscing about those days. We laugh, and laugh again, retelling the story with a mixture of fondness and disbelief.
And in the end, I think, that’s just how life is—everything passes, leaving behind only the memories we choose to hold onto.
**Join us every week as we share a new installment of this remarkable series. Stay tuned for essays that promise to inspire and captivate.**
---------
임교수의 문학산책: 에피소드 27
# 보물?
임 문영
이게 뭔데요?
아내가 붕어빵만 한 물건 하나를 꺼내놓는다. 한지(韓紙)로 꼬깃꼬깃 여러 겹 싼 것이다. 순간, 무슨 귀한 보물이나 되듯이 나름 기대한다. 이게 뭔데요? 하고 되묻는다. 가만히 풀어제껴 놓은 물건을 보고는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웬 까만 털이…….
아니 이것은 내 수염 깎은 털이 아니오? 그렇단다. 어떻게 이걸 여태 가지고 있는 거요? 아내는 그냥 넣어두었던 것인데…. 고만 까맣게 잊어먹고 있었단다.
그러니까 70년대 후반 파리 유학 시절 중, 일시 귀국길에 올랐었다. 당시 논문 쓰기에 바쁘니 수염 깎을 시간도 없었고 또한 종일 기숙사에 있었으니 남에게 폐 끼칠 일도 없으니, 그냥 수염 기른 상태로 일상생활을 했었다.
매일 수염 깎지 않으니 편하기도 하고 싶긴 절약도 되고 게다가 수염을 마음껏 길러보고 싶었단다. 당시 우리나라에선 수염을 기르면 지저분하다고 했고 버릇이 없다고까지 했으니 누구도 수염을 기르고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았다. 특별히 예술을 하는 사람들처럼 특정 분야 사람들이나 예외로 수염을 기른 상태였다.
아무튼, 수염을 기른 상태로 일시 귀국을 했는데, 오랜만에 만나는 반가움보다 수염에 놀란 아내. 아내에게는 턱수염 기른 모습이 탐탁하지 않았음은 당연하다. 보자마자 첫마디가 수염 깎으란다.
난 고집을 세우고 깎지 않은 상태로 있었으나 턱수염의 운명은 하루를 넘기지 못했다. 낮잠을 자는 틈에 아내가 가위로 싹둑 잘라버렸다. 무엄하게도 말이다. 그렇게 자른 턱수염을 아내는 한지에 싸서 버리기가 아까웠던지 함지에 넣어 두었던 모양이다.
살림을 정리하다가 우연히 발견된 보물? 지금이 2020년이니 무려 50여년을 간직한 셈이다. 한데 윤기가 자르르 흐르고 새까만 것이 제법 멋있는 수염이었다. 턱수염 봉지를 앞에 놓고 아내와 함께 그때 그시절의 추억을 함께 이야기하며 웃고 또 웃으며 넘어간다. 그렇게 모든 것이 지나가는 것이려니 한다.
**매주 새로운 에피소드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일상의 소박한 영감을 주고 마음의 평안을 가져다주는 이야기를 함께해 주세요.**
2024 ⓒ Arirang Culture Connec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