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nadara 0122, Soonji, Muk and Colors, 45 x 35 cm, 2001
This work was created for participation in the 2001 Asilah Art Forum in Morocco.
It is one of two pieces later housed at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Netherlands.
The art forum was held in a palace overlooking the clear blue waters where the Atlantic Ocean and the Mediterranean Sea meet. Though modest in size, the palace was intricately decorated with beautifully colored tiles.
This piece was inspired by the scenery of that place, incorporating elements of Hunminjeongeum, the Korean script.
Asilah is a small fishing village on the northwestern coast of Morocco, but even in 2001, it was already hosting its 22nd edition of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event.
During the forum, the town came alive as crowds from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France and Spain, as well as from North African countries such as Algeria and Libya, filled the wide streets.
It is said that this ongoing event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enthusiasm of the Moroccan Minister of Culture and his friend, a sculptor who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both determined to transform their hometown into a cultural hub.
It was a valuable experience to work alongside artists from the United States, Africa, and various parts of Europe.
The piece reflects the beauty of the Korean alphabet’s form, the contrast between bold brushstrokes and spaces, and the harmony of ochre and blue tones that vividly represent the colors of Morocco’s desert and coastal regions.
The artist, In-heh Hwang, will never forget Asilah, where every alley in the small fishing village turned into a vibrant workspace and festival ground. The exquisite cuisine served in the palace also added to the unforgettable experience.
What she learned through this event is that any endeavor pursued with purpose, unity, and sincere effort can lead to meaningful outcomes. It also left her with a sense of admiration.
* The above series of articles have been created as part of the international promotion of traditional cultures of various countries, which is a major activity of the international cultural enterprise ‘Culture Master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our website: www.culturemasters.org.
----------------------------------------------
황인혜 갤러리 제9편
# 2001 모로코 아실라아트포럼의 추억
김은배 박사
가나다라 0122, 순지, 먹, 채색, 45 x 35 cm, 2001
2001년 모로코 아실라아트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
그 후 주네덜란드 한국대사관에 소장된 두 작품 가운데의 한점이다.
대서양과 지중해가 바라보이는 맑고 푸른 바닷가에 지어진 궁전에서 아트포럼이 열렸고, 규모는 작으나 아름다운 색조의 타일로 정교하게 지어진 곳이었다.
그곳의 풍광을 상상하며 우리 글자인 훈민정음의 일부를 엮은 작품이다.
아실라는 모로코 북서쪽 해안의 작은 어촌이지만 2001년에 이미 22회를 맞는 국제적인 행사가 열리는 곳이었다.
프랑스, 스페인을 위시한 유럽 국가들, 알제리, 리비아 등지의 북아프리카국가들로부터 많은 인파가 몰려 들어 넓은 길을 가득 메우는 활기찬 기간이었다.
이 포럼행사는 모로코 문화부장관과 그의 친구인 미국에서 조각을 공부한 한 조각가가 그들의 고향을 문화중심지로 만들려는 열성으로 계속된 것이라 한다.
미국, 아프리카. 유럽의 각지에서 온 작가들과 함께 할 수 있었던 좋은 경험이었을 것이다.
한글의 글꼴이 지닌 아름다움, 힘찬 붓질로 만들어진 선과 면의 대비, 황토색과 푸른 색조는 모로코의 사막지대와 바다를 면하고 있는 그 지역의 색깔을 여실히 읽을 수 있는 알찬 작품이다.
조그만 어촌 마을의 골목 골목마다 훌륭한 작업장이 되고, 사람들로 가득 찬 축제의 장이 되었던 아실라를 잊을 수 없었던 만큼 궁전에서의 요리도 한 몫을 더했단다.
이 행사에 참여하면서 느낀 점은 ‘어떤 일이라도 목적을 가지고 합심하여 정성을 기울인다면 좋은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과 그리고 부럽다는 생각이었다고 한다.
* 상기 연재 기사는 국제문화기업 ‘컬처 마스터즈(culturemasters.org/public/kr)’의 주요 사업인 한국의 문화와 한글의 국제 보급활동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