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irang Culture Connect: Incheon Seogu]

The Bannam Park Clan Association held its 2025 Daegok Sije—the annual autumn ancestral rite—on November 26 at the Daegokjae Shrine in Daegok-dong, Seo-gu, Incheon. Despite the autumn season being the busiest period for clan rituals nationwide, members from across Korea gathered to honor their forebears and continue a centuries-old lineage tradition.

Officiants and assistants preparing in solemn reverence for the ancestral rite.

A Cultural Heritage Site at the Heart of Incheon’s History

Daegokjae, designated as Incheon Monument No. 59, is one of the region’s most representative ancestral and burial complexes. Encompassing a protected area of 1,903 square meters, it enshrines ten ancestors of the Bannam Park lineage—from the 8th to the 14th generations—including Sajjikgong Park Byeong-mun, Sangjugong Park Im-jong, and Geumjugun Park Jeong.

The preserved stone figures, altars, and grave markers display the aesthetic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ate-Joseon noble tombs, offering rare insight into the social and cultural fabric of the era. As a lineage that produced queens, high-ranking officials, and distinguished scholars, the Bannam Park clan regards Daegokjae as a cornerstone of its historical identity.

The first officiant is offering ritual wine to the ancestors.

Rite Conducted with Full Observance of Lineage Tradition

This year’s ceremony was conducted with solemnity as the clan’s hereditary head and members filled the roles of officiants and assistants.
The Choheon (first officiant), Aheon (second officiant), and Jongheon (final officiant) made their ritual offerings in sequence, while members of the Sajikgong, Namyanggong, Heungyanggong, and Chuncheongong branches supported the proceedings.


In line with our editorial policy emphasizing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traditional ritual culture, this publication does not disclose the individual names of the officiants and assistants who served in this year’s ceremony. We appreciate our readers’ understanding regarding this practice.

Photo: The Jipsa Assignment Board posted prominently in the courtyard of the shrine.​​​

“A Meaningful Gathering Despite Overlapping Autumn Rituals”

Doyusa Park Seung-won expressed gratitude to members who traveled long distances, including from Gwangju and Gyeongsang Province.

“Autumn is the peak season for clan rites nationwide. Even so, many members arrived at dawn to join the ceremony,” he said.
“Your commitment is what sustains our ancestral traditions and ensures that they continue as living heritage.”

Parallel Rite by the Sukcheongong Branch

On the same day, the Sukcheongong branch also carried out its seasonal rite nearby. Sukcheongong Park Im-jeong, a ninth-generation descendant and former magistrate of Sukcheon prefectur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clan’s prosperity and local governance. Some of his descendants later settled in the Yeongnam region—an important thread in the study of the Bannam Park clan’s migration history.

Joseon-Era Ancestors Enshrined at Daegokjae

The figures resting at Daegokjae played essential roles across military,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spheres:

Sajjikgong Park Byeong-mun – Deputy commander of the Central Military Headquarters

Sangjugong Park Im-jong – A key contributor to local governance and clan leadership

Geumjugun Park Jeong – A civil-service official exemplifying noble scholarly ideals

Descendants who served as hogun and sanghogun, reinforcing the clan’s role in state defense and regional stability

Their collective achievements shaped the Bannam Park clan’s stature in the Joseon period and continue to be the subject of historical study.

All participating clan members are gathered for a commemorative group photo.

The Intangible Value of Korea’s Traditional Family Rituals

Witnessing the ceremony at the Daegokjae Shrine, I am reminded that this is far more than a family observance. It is a living embodiment of Korea’s enduring values—filial piety, communal identity, and the etiquette that binds generations across time.

The Bannam Park clan’s traditional family rite is a refined cultural practice in which ceremonial attire, ritual procedures, offerings, incense, and the order of officiants form a coherent intergenerational system.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such community-rooted rituals are increasingly rare, which only heightens their valu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me, the Daegokjae ceremony provides a vivid example of how a Korean noble lineage has preserved and transmitted its traditions into the 21st century. Elders guiding each step of the ritual, and younger members learning through participation, demonstrate how cultural inheritance truly survives—through shared experience and shared memory.

Looking ahead, a significant question remains:
How can the Bannam Park clan’s unique ceremonial traditions be shared with, and appreciat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se traditions to receive proper recognition in global cultural discourse, their meaning, structure, and symbolism must be introduced with accuracy and depth.

Our publication intends to contribute to this effort. By documenting, interpreting, and disseminating the values embedded in Korea’s traditional family rituals, we hope to serve as a bridge linking this heritage with audiences around the world.

From left to right: In-woo, Do-yusa Seungwon, and the author.

As the ceremony concluded, one clan member remarked:

“Tradition survives only when people participate.”

Indeed, tradition is not preserved through documentation alone.
It endures only when people gather, practice it, and invest sincerity in its continuation.
The Daegokjae rite stands as a compelling testament to that truth.

※ Preserving the traditions of our clan is, in essence, safeguarding th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반남박씨 대곡재 시제가 보여주는 살아 있는 공동체 의례의 힘

- 대종중 주도로 인천 서구 대곡재에서 2025년 대곡시제 봉행

[아리랑 컬처 커넥트: 인천]

발행인 박성용

반남박씨 대종중은 11월 26일 인천 서구 대곡동에 위치한 대곡재에서 2025년도 대곡시제를 엄숙히 봉행했다. 가을철 전국 문중의 제례가 집중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전국 각지의 종원들이 참석해 오랜 전통을 잇는 의미 있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제례를 올리기 위해 헌관과 집사들이 경건히 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

인천 지역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유산

대곡재는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59호로 지정된 대표적 가문 묘역이자 제향 공간이다. 약 1,903㎡의 보호구역에 반남박씨 8세에서 14세에 이르는 열 분의 선조가 모셔져 있으며, 사직공 박병문·상주공 박임종·금주군 박정 등이 안장되어 있다.

묘역의 문인석, 상석, 묘표 등은 조선 후기 사대부 묘제의 특징을 온전히 간직하고 있어, 당시의 사회문화적 구조와 미감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왕비·재상·문과급제자를 배출한 명문가 반남박씨에게 대곡재는 가문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핵심 유적이다.

제례의 초헌관이 조상님께 술을 올리고 있다.

전통 가문 예법에 따른 엄정한 절차

올해 시제는 대종손과 종원들이 헌관 및 집사직을 분담해 전통에 따라 정성스럽게 진행되었다.
초헌관·아헌관·종헌관이 순서에 따라 헌작을 올렸고, 사직공파·남양공파·흥양공파·춘천공파 종원들이 집례와 집사를 맡아 의식을 원만하게 이끌었다.
전통 의례의 가치 확산에 중점을 두는 편집 원칙에 따라, 본지 보도에서는 시제를 담당한 헌관과 집사 개인의 실명을 거명하지 않음을 독자 여러분께 양해 구한다.

전통 의례의 가치 확산에 중점을 둔 본지에서는 집사를 담당한 헌관과 집사 이름을 거명하지 않는 점 이해를 구한다.

사진: 재각 마당에 커다란 게시판에 공지된 집사분정기 모습

“가을철 시제 중첩 속에서도 함께해 주어 감사”

박승원 도유사는 멀리 광주, 경상도 등지에서 새벽 일찍 올라와 참여한 종원들에게

깊은 감사의 뜻을 전했다.

“가을은 전국적으로 시제가 겹치는 시기입니다. 그럼에도 일찍부터 발걸음을 해주신 종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전통을 이어가는 힘입니다.”

대곡재에 잠든 조선 시대의 핵심 인물들

대곡재 선조들은 조선 시대 군사·행정·정치 전반에서 가문의 기반을 닦은 인물들이다.

사직공 박병문 – 중군부사직 역임

상주공 박임종 – 지방 행정과 종중 중심 체계 확립

금주군 박정 – 지방 수령직 수행, 학통 계승 기여

여러 무반 후손들은 호군·상호군 등의 직책을 수행하며 국방과 치안을 책임짐

이들의 공적은 반남박씨 명문의 위상을 형성한 실질적 기틀이며, 문중과 지역사회는 지속적인 연구와 조명을 이어갈 계획이다.

같은 날 봉행된 숙천공파 시제

인근에서는 숙천공파 종중도 시제를 거행했다. 숙천공 박임정은 조선 시대 숙천부사를 지낸 인물로, 가문의 중흥과 지역 행정에 헌신했다. 후손 일부가 영남 지역으로 세거지를 확장한 사실은 반남박씨 세거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흐름을 이룬다.

제례에 참석한 모든 종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 전통 가문 제례가 지닌 무형문화유산적 가치

대곡재에서 제례를 직접 지켜보며 필자는 새삼 깨닫게 되었다. 이 의식은 단순한 가문의 연례행사가 아니라, 한국 사회가 오랜 세월 이어온 효(孝)·공동체·예(禮)의 정신이 압축된 살아 있는 문화유산이라는 점이다.

반남박씨 전통 가문 제례는 복식·절차·헌작·진설 등 수많은 요소가 복합된 세대 간 전승형 공동체 의례다. 급속히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향촌 기반 의례는 점점 보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그만큼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필자는 이 대곡재 시제가 단순한 제례가 아니라, 한국의 명문 가문 문화가 21세기까지 어떻게 전승되어 왔는지를 보여주는 생생한 사례라고 본다. 제례 현장에서 어른 세대가 전통을 가르치고, 젊은 세대가 이를 직접 체득하는 장면은 문화가 전승되는 본질적 방식 그 자체다.

앞으로는 반남박씨 명문가가 지켜 온 독특한 제례 형식을 국제사회에 어떻게 소개하고 보급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한국의 전통 가문 문화가 세계 문화유산 논의 속에서 정당한 가치를 인정받으려면, 그 실체가 정확히 알려져야 한다.

본지 역시 이러한 문화적 가치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기사 보도를 넘어, 한국 전통 가문의 의례·정신·역사적 맥락을 세계 독자에게 깊이 있게 전달하는 것은 우리의 역할이자 사명이다.

(좌에서 우로) 박 인우 대전지구 회장, 박 승원 도유사, 필자

제례가 끝날 무렵 한 종원의 다음 말이 모든 것을 요약한다.

전통은 참여할 때에만 이어집니다.

실제로 전통은 기록만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사람이 모이고 행동으로 체험하며 정성을 들일 때 비로소 살아 있는 문화가 된다.
대곡재 시제는 그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 우리 가문의 전통을 지키는 일은 곧 인류의 문화유산을 지키는 일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