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컬처 커넥트 특별 기고

---

올해 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취임하면서 ‘트럼프 2.0’ 시대가 공식적으로 개막했다. 그의 경제 정책인 **‘Maganomics’**는 감세, 규제 완화, 일자리 창출을 핵심 기조로 하며, 동시에 **보호무역 강화와 ‘미국 우선주의’**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특히 모든 수입품에 최소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적 관세’ 정책과 중국산 제품에 대한 60% 관세가 추진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 외 생산된 자동차에 100% 관세 부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와 글로벌 산업 구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러한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산업계는 통상 마찰 완화, 무역 불균형 해소, 공급망 다변화 전략을 모색하고 있으며, 문화계 또한 국제 협력과 무형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문화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려 하고 있다.


---

트럼프 2.0 시대, 한국 산업·문화계의 대응 전략

한국 산업계의 대응 전략: 무역 마찰 최소화 및 글로벌 공급망 강화

한국 산업계의 대응 전략: 무역 마찰 최소화 및 글로벌 공급망 강화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은 한국의 자동차, 반도체, 철강, 배터리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미국과의 통상 마찰을 최소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한국의 자동차 및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내 공장을 신속히 확장함으로써 보호무역 장벽을 최소화하고, 미국 정부의 친기업 정책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대미 무역 흑자를 완화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산 LNG 수입을 확대하고, 미국 내 인프라 투자 및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무역 균형을 조정하고 있다.

공급망 다변화도 중요한 대응 전략이다. 특정 지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 유럽, 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써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AI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오픈AI, 소프트뱅크, 오라클이 함께 추진하는 대규모 AI 프로젝트로, 향후 4년간 5천억 달러가 투자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HBM(고대역폭 메모리) 등 AI 메모리 공급을 확대하고,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또한, AI 칩과 AI 반도체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오픈AI와 협력하여 AI 기술을 삼성 제품에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경제 정책도 산업계의 대응 전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법인세 감세 정책은 대기업의 투자 유인을 높일 것으로 보이며, 5G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규제 완화 정책도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 다만, 미중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한국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한국 문화계의 대응 전략: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및 디지털 확장

트럼프 2.0 시대는 한국의 문화 산업에도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문화계는 무형문화유산을 기반으로 국제 문화 교류를 확대하고, 디지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컬처마스터즈(Culture Masters)**는 이러한 변화를 기회로 삼아, **세계무형유산대회(WIN: World Intangible Heritage Festival & Contest)**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 프로젝트를 통해 글로벌 문화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세계무형유산대회(WIN), 글로벌 문화 교류의 중심으로

컬처마스터즈는 오는 **2026년 10월 9일부터 10월 18일까지 10일간 ‘세계무형유산대회(WIN)’**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대회는 전 세계 무형유산 전승자, 예술가, 문화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는 창의적 문화 교류의 장이 될 것이다.

특히 이번 대회는 무형유산 보호와 전승, 문화 콘텐츠 산업 발전,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기획되었다.

전통과 현대의 융합

세계무형유산대회에서는 전통 예술과 현대 기술이 융합된 다양한 콘텐츠가 선보일 예정이다. 전통 음악과 K-팝의 협업 공연이 기획되며, 전통공예와 디지털 기술(NFT, AI)을 결합한 콘텐츠도 선보인다. 또한, 미디어아트와 전통 무용을 결합한 창작 퍼포먼스를 통해 새로운 문화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각국의 무형유산 보유자와 예술가들이 참여하는 교류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국제 문화 비즈니스 포럼이 개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문화산업 관계자들이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무형유산 기반의 도시재생 프로젝트와도 연계할 계획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과 문화외교

컬처마스터즈는 유네스코 및 국제 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후원사 및 파트너십을 유치할 예정이다. 또한, 각국 정부 및 민간단체와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무형유산의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세계무형유산대회는 문화 콘텐츠 창출의 원천이자, 창의적 다양성을 통한 문화산업 혁신의 플랫폼이 될 것이다.

컬처마스터즈의 4대 글로벌 전략

컬처마스터즈는 트럼프 2.0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글로벌 문화 리더로서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I. 문화적 다양성 증진: 글로벌 문화의 연결고리

컬처마스터즈는 문화적 다양성과 포용성을 강조하며, 글로벌 무형유산 공동체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Arirang Master Designation Program’을 통해 전 세계 무형유산 예술가들을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중장기 전략사업으로 ‘CM Global Academy’를 개발을 통해 무형유산 보유자와 예술가들에게 디지털 역량과 리더십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온라인 신문사인 ‘Arirang Culture Connect’라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무형유산 관련 뉴스를 제공하고 있다.



II. 디지털 플랫폼 활용: 문화 콘텐츠의 글로벌 확산

컬처마스터즈는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문화 콘텐츠의 접근성과 확장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글로벌 온라인 뉴스 플랫폼인 ‘Arirang Culture Connect’를 운영하고 있으며, 중기 전략사업으로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인 ‘CM Global Academy’를 통해 무형유산 관련 교육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전시 및 미디어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전통 예술과 첨단 기술을 융합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III. 사회적 책임 강화: 지속 가능한 발전과 무형유산 보호

컬처마스터즈는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기업 철학으로 삼아 글로벌 문화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무형유산 보유자를 지원하고 전승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문화재생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다. 또한, 공정 무형유산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장기적인 보호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IV.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문화외교와 창의산업 발전

컬처마스터즈는 전 세계 15개국의 국제자문위원회(IAB)를 운영하며, 각국의 문화 전문가와 협력하여 창조산업과 문화외교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유네스코 및 국제 기구와 협력하여 무형유산 보호 및 발전을 위한 국제 정책을 수립하며, 기업 및 정부와 협력하여 문화 관련 CSR 프로젝트와 후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다국적 문화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글로벌 무형유산 전승 및 문화 교류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결론: 트럼프 2.0 시대, 문화외교의 새로운 기회

트럼프 2.0 시대의 Maganomics 정책은 글로벌 경제 질서에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컬처마스터즈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세계무형유산대회(WIN)를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 교류를 강화하며, 문화외교, 창의산업, 지속 가능한 발전을 연결하는 새로운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컬처마스터즈는 문화 콘텐츠 창출의 원천이자 글로벌 문화 네트워크의 중심으로서 전 세계가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것이다.

📢 더 많은 문화 뉴스와 심층 분석을 원하신다면?
👉 Arirang Culture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