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endants of the 16th-generation Eungugong gather to honor their forebears
— Clan members join, including representatives of major sub-branches
— General Council expresses gratitude to senior advisors for laying the groundwork for growing youth participation
The Eungugong branch of the Bannam Park clan held its annual ancestral rite on November 26, 2025, at the family burial grounds in Neungan, located in Bang-a-ri, Namsa-eup, Cheoin-gu, Yongin.
The ceremony commemorated Eungugong, the 16th-generation descendant of 11th-generation Changsingyo Wi-gong, and brought together clan members from across the country to pay tribute to their lineage and cultural heritage.
This memorial stele was erected to honor the long and distinguished history of the Bannam Park clan and to commemorate the virtues and achievements of its illustrious ancestors.
On the front of the stone are inscribed the contributions of the clan’s progenitor, Park Eung-ju, as well as those of later generations who were renowned during the Joseon period for their loyalty, filial piety, and scholarly excellence.
The inscription also expresses the hope that future descendants will remember their ancestral roots and emulate the noble character of the forebears, contributing to the nation and society.
Surrounding the stele is a carefully maintained burial garden and trees, symbolizing the clan’s deep traditions and its enduring spirit of ancestral reverence.
■ Over 50 participants, including branch leaders and representatives
The rite was led by
Park Seung-sik, head of the Eungugong branch, with
Park Seung-gap, senior advisor of the Shingyegong branch;
Park Seung-don, chairman of the Donggakgong branch;
Park Chan-deok, chairman of the Seungjigong branch;
Park Je-yong, chairman of the Jinsagong branch;
Park Seung-su, general secretary of the Cheongragong branch; and
Park Seung-gon, general secretary of the Donggakgong branch,
joining in the proceedings.
Seventeen direct descendants of the Eungugong line participated in preparing and carrying out the ritual. In total, over 40 clan members gathered to honor their ancestral ties.
The ritual is being carried out with solemnity in the ancestral hall.
■ 2025 officiants and ceremonial attendants
This year’s ceremon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Confucian rites.
The chief officiant (Choheongwan) role was fulfilled by Dong-u for the Eungugong, Changyu–Sadal–Sangwol, and Jongson families, while Useo served for the Yeongcheonri group and Namseo for the Jungni branch.
The second officiant (Aheongwan) duties were carried out by Jeyong, Chan-hyeong, Song-jae, Seung-gu, and Seung-jin respectively across each division.
The final officiant (Jongheongwan) roles were performed by Seung-don, Song-seop, Chan-hyeong, Chan-hyeong again for Yeongcheonri, and Seung-sik of the Jungni line.
The reader of the ritual text (Chukgwan) was Seung-pil for all divisions.
Supporting duties such as arrangement of offerings and ritual coordination were handled by Seung-gu, Seung-jin, Seung-u, Seung-jin, and Useo as left attendants, while Useo and Namseo served as right attendants.
The master of ceremonies (Jibnye) was Seung-nam, and the mountain spirit rite (Sanshinje) was conducted by Seung-sik and Seung-jeong.
These collaborative roles ensured that every stage of the ceremony proceeded with precision, preserving the formal structure of the clan’s centuries-old Confucian ritual tradition.
The officiating elders and attendants are performing the ancestral ceremony.
■ “Deep appreciation for members from near and far”—a meaningful rite during the busy autumn ritual season
A representative of the Eungugong branch noted that the autumn season often overlaps with numerous ancestral rites across the clan’s various branches, making attendance difficult.
“Despite the tight schedules, many members traveled from Seoul, southern Gyeonggi, and even the Chungcheong region early in the morning to join us. We truly appreciate their dedication,” the representative said.
He added, “The continuation of our ancestral duties relies on the participation of our members. Only through your involvement can our traditions and responsibilities endure.”
■ General Council: “Today’s strong youth participation grew from the dedication of senior regional advisors”
The General Council of the Bannam Park Clan issued an official message expressing gratitude for the contributions of senior regional advisors:
“The revival of ancestral rites across our branches and the remarkable rise in youth participation today
are the result of the unwavering devotion of senior advisors who, in earlier decades,
strengthened local branches, supported sub-branch development, and cultivated the foundation upon which our clan stands.”
The Council extended its “deepest appreciation” to the advisors and reaffirmed its intention to uphold their achievements by fostering intergenerational unity and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e clan members who took part in the ancestral rite on this day.
■ Honoring Eungugong and the legacy of the Bannam Park lineage
Eungugong is recognized as a major 16th-generation figure within the Bannam Park genealogy.
His lineage connects to prominent ancestors such as Changsingyo Wi-gong, as well as Shingyegong, Donggakgong, Seungjigong, Jinsagong, and Cheongragong—figures who played important roles in governance, military service, education, and local cultural development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annual ancestral rites carried out by Eungugong’s descendants continue to exemplify the living heritage of Korea’s Confucian ceremonial tradition.
■ A reaffirmation of heritage and community
The 2025 Eungugong rite at Neungan was not only a commemoration of ancestral virtue but also an affirmation of shared heritage and unity.
Building on the foundation laid by elder advisors and strengthened by increasing youth participation, the clan expressed its commitment to preserving and transmitting Korea’s Confucian ancestral culture to future generations.
※ Preserving the traditions of our clan is, in essence, safeguarding th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 반남박씨 응우공파, 동탄 능안에서 2025년 시제 봉행
— 창신교위공의 후손들 모여 제향… 전국 종원 50여 명 참여
— 대종중 “청·장년 참여 기반 닦아준 지역 고문들께 깊은 감사”
[아리랑 컬처 커넥트: 경기 동탄]
발행인 박성용 (勝龍)
반남박씨 응우공파는 2025년 11월 26일,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방아리 1114-1 소재 능안 선영에서 응우공(應友公) 16세조 시제를 엄숙히 봉행했다.
이번 시제는 동탄 지역에 모셔진 11세 창신교위공의 5대손인 응우공 후손들이 선조의 은덕을 기리는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전국 각지에서 모인 종원들의 참여로 더욱 뜻깊게 진행되었다.
이 묘원비는 반남박씨 가문의 유구한 역사와 영광스러운 선조들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비석 정면에는 시조 박응주를 비롯하여 조선 시대에 충효와 학문으로 이름을 떨친 여러 선대의 업적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후손들에게 가문의 뿌리를 잊지 말고 선현들의 유덕을 본받아 나라와 사회에 기여하기를 바라는 뜻이 새겨져 있다. 비석 주변에는 정성스럽게 조성된 묘원과 수목이 자리하고 있으며, 가문의 전통과 숭조의 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응우공파 회장을 비롯한 각 파 대표 참여… 총 50여 명 모여
시제는
박승식 응우공파 회장의 주관 아래,
박승갑 신계공파 고문,
박승돈 동곽공회장,
박찬덕 승지공회장,
박제용 진사공회장,
박승수 청라공 총무,
박승곤 동곽공 총무
등 각 파의 대표 종원들이 참석하여 한마음으로 제례를 모셨다.
응우공파 후손 17명을 포함해 총 40여 명의 종원이 참여해 조상에 대한 정성과 예를 다했다.
■ 2025년 시제 집사·헌관 명단
올해 시제에서는 초헌관에 응우공·창유·사달·상월·종손가 분구에서는 모두 동우, 영천리에서는 우서, 중리에서는 남서 종원이 맡아 헌작 절차를 진행하였다.
아헌관은 응우공계 제용, 창유·사달·상월계 찬형, 종손가 송재, 영천리 승구, 중리 승진 종원이 담당하였다.
이어 종헌관에는 응우공계 승돈, 창유·사달·상월계 송섭, 종손가와 영천리에는 공히 찬형, 중리에는 승식 종원이 참여하여 세 차례의 헌작을 모두 완성했다.
축문을 읽는 축관은 전 분구 공통으로 승필 종원이 맡아 제문의 낭독을 담당하였다.
제수 준비와 진설·헌작 보조를 담당하는 좌집사에는 승구·승진·승우·승진·우서 종원이,
우집사에는 우서와 남서 종원이 배치되었다.
또한 제례 전반의 절차를 인도하는 집례는 승남 종원이 맡았으며,
제례에 앞서 행하는 산신제에는 승식과 승정 종원이 참여하였다.
이처럼 각 분파에서 고르게 참여한 종원들이 역할을 나누어 전통 예법에 맞춘 제례가 온전히 봉행될 수 있었다.
■ “새벽부터 모여준 종원들께 감사”… 가을철 시제 중첩 속 더욱 소중한 자리
응우공파 관계자는
“가을철은 여러 파와 지역 종중의 시제가 한 시기에 겹치는 등 일정이 바쁜데도,
서울·경기 남부·충청 등 먼 지역에서 새벽부터 동탄 능안까지 찾아와 주신 종원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이어 “여러분의 정성과 참석이 있어야 제계(祭戒)와 종중의 봉사가 이어지고, 가문의 전통 또한 다음 세대로 전승될 수 있다”며 의미를 강조했다.
■ 대종중 “초기 지역 고문들의 헌신이 오늘의 젊은 세대 참여 기반 만들어”
반남박씨 대종중은 이번 시제를 맞아 공식적으로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혔다.
“오늘날 응우공파를 비롯한 각 파종중의 시제가 꾸준히 회복되고
청·장년층의 참여가 크게 늘어난 것은
초기부터 지역에서 종중을 일으키고 하위 종중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해오신
고문 어르신들의 헌신 덕분입니다.”
대종중은 오랜 기간
지역 단위 종중 조직 재정비,
젊은 세대 참여 기반 마련,
제례 운영 체계 유지,
종중 간 연계 및 조정 역할
등을 묵묵히 수행해 온 고문들의 노고가 오늘의 견고한 종중 운영 기반이 되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어르신들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후손들도 그 뜻을 계승해 전통을 굳건히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 응우공 및 관련 선조들의 역사적 의의
응우공은 반남박씨 가계 16세대 계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창신교위공을 비롯한 신계공·동곽공·승지공·진사공·청라공 등
각 파의 파조가 조선 시대 지방행정·군직·교육·향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문과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한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응우공 후손들이 매년 시향을 통해 선대의 정신을 기리는 것은
한국 유교 제례의 전통을 온전히 보전·전승하는 의미 있는 실천으로 평가된다.
■ 전통을 잇는 힘은 ‘참여’에서 나온다
이번 2025년 동탄 응우공 시제는
가문의 뿌리를 확인하고 세대 간 정을 나누는 소중한 자리로,
종중의 지속성과 전통문화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응우공파는 앞으로도
고문들의 뜻과 종원들의 참여 열기를 이어,
유교 제례라는 귀중한 문화유산을 다음 세대까지 굳건히 전승해 나갈 계획이다.
※ 우리 가문의 전통을 지키는 일은 곧 인류의 문화자산을 지키는 일입니다.